ETF 2

[주식투자] 국내, 해외 상장 ETF 세금, 수수료 정리

ETF란 상장지수펀드(Exchanged Traded Fund) 이다 기초지수의 성과를 추적하는 것이 목표인 인덱스 펀드라고 볼수 있다 ETF는 상픔 규모가 클수록 거래가 쉽고, 기초지수를 잘 따라가는, 그래서 괴리율이 적은 게 좋은 상품이다 하지만 장기투자를 할 거라면 이런 요소들보다도 운용보수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 결국 ETF 수수료를 낮춰서 당장 수익성이 떨어지더라도 더 많은 투자자들에게 박리다매하자는 게 현재 국내 ETF 운용사들의 전략이다 ETF에 투자할 때 드는 비용은 세금과 수수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1.세금 (1+2+3) 주식관련 세금은 크게 증권거래세와 매매차익과 배당소득에 대한 세금이 있다 국내 주식에 투자할 때는 0.23%의 증권거래세가 있지만 ETF에 투자하면 증권 거래세가 ..

주식투자 2022.11.11

주식투자 ETF] TIGER 미국테크TOP10 INDXX

총 보수는 연 0.49% (운용: 0.42%, 지정참가: 0.02%, 신탁: 0.025%, 일반사무: 0.025%) 수수료는 따로 계좌에서 빠져나가는 것이 아니라 주가에 반영되어 움직인다 나스닥100 ETF의 총보수 대비 2배 이상으로 높은 수준이다 1년에 4회 리벨런싱을 한다 2분기 리벨런싱 때 상장 시 포함되어있던 넷플릭스와 인텔이 컴캐스트와 어도비로 교체되었다 교체 후 넷플릭스는 구독자 증가의 호재로 상승하는 반면 컴캐스트와 어도비는 수익률에 거의 기여를 못하고 있다 주가가 올라갈 주식을 담아야 하는데 올라가버린 주식을 담고, 떨어졌다고 버린 주식은 조정 후 상승하는 꼴이다 TOP10으로 편입되는 종목이 계속 상승하지 않는다면 리벨런싱으로 초과수익을 내기 힘들 듯 하다

주식투자 2022.1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