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ETF란 상장지수펀드(Exchanged Traded Fund) 이다
기초지수의 성과를 추적하는 것이 목표인 인덱스 펀드라고 볼수 있다
ETF는 상픔 규모가 클수록 거래가 쉽고, 기초지수를 잘 따라가는, 그래서 괴리율이 적은 게 좋은 상품이다
하지만 장기투자를 할 거라면 이런 요소들보다도 운용보수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
결국 ETF 수수료를 낮춰서 당장 수익성이 떨어지더라도 더 많은 투자자들에게 박리다매하자는 게 현재 국내 ETF 운용사들의 전략이다
ETF에 투자할 때 드는 비용은 세금과 수수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1.세금 (1+2+3)
주식관련 세금은 크게 증권거래세와 매매차익과 배당소득에 대한 세금이 있다
국내 주식에 투자할 때는 0.23%의 증권거래세가 있지만 ETF에 투자하면 증권 거래세가 없다
2. 수수료 (4)
ETF에서 특히 살펴야 할 건 운용사별 수수료(보수)다
실제로 내는 비용은 총보수+기타비용
TIGER 나스닥 100을 예로 들면, TIGER 나스닥 100의 총보수는 0.07%지만 기타비용으로 0.14%가 붙어서 총보수비용이 0.21%가 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주식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프로TV 22.11.13) 하워드 막스 인터뷰 내용 요약 3편 [하워드 막스는 어떻게 투자할까?] (0) | 2022.11.23 |
---|---|
미국주식투자 기초상식 (0) | 2022.11.17 |
(삼프로TV 22.11.13) 하워드 막스 인터뷰 내용 요약 2편 [하워드 막스는 어떻게 투자할까?] (0) | 2022.11.17 |
(삼프로TV 22.11.13) 하워드 막스 인터뷰 내용 요약 1편 [하워드 막스는 어떻게 투자할까?] (0) | 2022.11.13 |
주식투자 ETF] TIGER 미국테크TOP10 INDXX (0) | 2022.11.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