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타이밍을 사지 말고 시간을 사라고 말씀하셨는데요. 그러면 지금 같은 상황에서 자산배분 측면에서 볼 때 집중적으로 보고 있는 자산, 포트폴리오에 대해서 말씀해주세요.
A: 만약 여러분이 제 충고를 무시하고, 돈을 그대로 두지 않고 개선을 위해 움직이려고 한다면, 그전에 우리가 당장 향하고 있는 기간이 평균보다 더 나쁜 기간일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불확실성도 많고 특히 오늘날 대부분의 나라들이 높은 인플레이션을 보이고 있죠. 중앙은행들은 경제를 꽉 쥐면서 경제가 식도록 시도하고 있는데 인플레이션을 통제하고, 이것은 그들이 금리를 올리고 시스템에서 돈을 꺼내고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역사적으로 이러한 행동들은 대부분 경기 침체를 초래했습니다. 만약 경기 침체를 일으키지 않고 이를 성공할 수 있다면 우리는 그것을 연착륙이라고 부르죠. 대부분의 경우 연착륙이 이뤄지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저희는 이전만큼 사업이 쉽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우리는 금리가 낮아 쉽게 돈을 조달할 수 있는 환경에 있었죠. 그리고 지금 우리는 연준이 경제를 식혀야 하기 때문에 더 빡빡한 환경에 처해 있는데 , 이것은 기업들이 더 어려워지고 국제 성장도 더 약해질 것이라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게 목표입니다. 기억하세요. 지금 중앙은행의 목표는 성장률을 낮추는 것입니다, 왜냐하면 인플레이션은 과열된 경제에서 비롯되었기 때문입니다, 과열된 경제에서는 인플레이션을 통제할 수 없습니다, 이 모든 것을 종합해보면 앞으로 1~2년은 힘들 것이라고 말할 수 있을 것입니다. 저희는 주로 신용투자자라고 불리는 사람들입니다. 저희는 부채에 투자하고 부채, 채권, 대출은 약속된 지불의 흐름이고, 여러분에게 채권을 파는 회사와의 계약입니다. 그게 무슨 뜻이냐면 여러분이 그들에게 돈을 주면 그들은 6개월마다 여러분에게 이런저런 이자를 지급하고, 년 말에 여러분은 돈을 돌려받는다는 계약서를 쓰는 것이죠. 회사가 신용이 있는 한 이것은 신뢰할 수 있는 계약입니다. 저희는 이것이 지금 환경에서 매우 좋은 자산군이라고 생각합니다. 1년 전만 해도 저희의 주력 상품 중 하나인 하이일드 채권은 매년 약 4%의 이자를 냈습니다. 이제 9%입니다. 이는 아주 매력적이죠. 그리고 여러분이 높은 수준에 약속된 수익과 계약적인 자연적 수익률을 결합할 때 이는 꽤 좋아 보입니다. 장기적으로 계약에 이익이 없는 주식은 경제성장에 참여합니다. 장기적으로 채권보다 더 잘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하지만 직전 기간에는 신용이 좋은 도구라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우리가 만약 어려운 시기에 증명한다면 여러분의 신용 혹은 우리가 채권투자라고 부르는 것은 아마도 어려운 환경에서 여러분의 주식보다 잘할 것입니다. 하지만 한 가지 덧붙여 말하자면 이 분야가 얼마나 복잡한지 보여드리고 싶습니다. 저는 결코 이 문제를 쉽게 보이도록 이야기하지 않습니다. 쉽게 보이도록 하고 싶지 않아요. 우리는 경제 전망이 최근보다 더 나쁘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그래서 문제는 최악의 환경을 고려할 때 시장이 적절하게 하락했는가 아니면 너무 많이 혹은 너무 적게 하락했느냐 하는 것입니다. 우리는 경제에 앞으로 도전이 있을 것이라고 의심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렇게 말하면 어떨까요. 경기 침체가 GDP의 5%를 빼앗을 것이라고 보이지만 시장은 GDP가 15% 감소할 것처럼 가격이 매겨져 있다면 어떨까요. 즉 주식이 너무 싸다는 것입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긍정적인 사건에 가격이 오르고 부정적인 사건에 가격이 내려간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그것은 단지 사건과 가격만을 말하는 것은 아닙니다. 그 사이에는 제가 암시해온 심리학이 있습니다. 전 단지 사건이 무엇인지 뿐만 아니라 사람들의 가격에 변화를 만들어내는 사건에 대해 어떻게 느끼는지에 대한 것입니다. 그래서 만약 그 사건이 부정적이지만 심리가 너무나 부정적이면 어떤 이들은 가격이 오를 것이라고 주장할 수 있습니다. 제가 그런 방향을 가늠하는 과정에 얼마나 막연함이 있는지 보여주는 것일 뿐입니다. 그렇긴 하지만 앞으로 1~2년은 힘들 것이라는 점은 인정합니다 그러나 사람들이 큰 손실을 피하고 나중에 더 낮아질 것이라는 예측으로 오늘 빠져나와야 할 정도로 나쁘지는 않을 것 같습니다. 하지만 여기서부터 시장이 하락할 수 있다는 것은 분명해 보입니다. 하지만 확실한 건 없어요.
'주식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 주식 호가단위 2023년 변경 (0) | 2023.07.05 |
---|---|
미국주식투자 기초상식 (0) | 2022.11.17 |
(삼프로TV 22.11.13) 하워드 막스 인터뷰 내용 요약 2편 [하워드 막스는 어떻게 투자할까?] (0) | 2022.11.17 |
(삼프로TV 22.11.13) 하워드 막스 인터뷰 내용 요약 1편 [하워드 막스는 어떻게 투자할까?] (0) | 2022.11.13 |
[주식투자] 국내, 해외 상장 ETF 세금, 수수료 정리 (0) | 2022.11.11 |